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TP
- nba
- 팬텍
- 농구
- 다음카카오
- 베가아이언2
- 구글 나우
- 안드로이드 어플
- 아이폰
- 인스타그램
- 네이버
- 구글
- 안드로이드 앱
- 안드로이드
- 양반탈 이야기
- It
- kakao
- Windows
- Google 피트니스
- 카카오택시
- 카카오톡
- Linux
- 보안
- 안드로이드 어플 추천
- 크롬
- 카카오
- Google Now
- 페이스북
- 영화리뷰
- Today
- Total
아마추어 팀블로그
알약 안드로이드 설치 및 검사 방법 본문
PC에 대한 백신은 알약이나 네이버 백신, 카스퍼스키, McAfee 같이 종류가 많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이것저것 사용해보다가 결국 네이버 백신으로 정착했는데요, 사실 다운로드 받거나 설치하는 프로그램들 없이 웹서핑이나 게임, 문서 작업만 해서 바이러스 걸릴 일이 없을 것 같기도 하네요. 그래도 한수원 사태같은 일을 방지하기 위해 '알 수 없는 발신자의 메일은 클릭하지 않는다' 정도의 보안 규칙은 지키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스미싱이나 악성코드가 삽입된 어플의 설치 등 보안 이슈는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Google Play에 올라온 앱이라고 무작정 믿었다가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털릴 수도 있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알약의 안드로이드 버전 앱을 설치하고,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을 간단히 보여드리겠습니다.
우선 알약 안드로이드를 설치해야겠죠. 구글 플레이에서 알약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알약 안드로이드 모바일 백신을 찾을 수 있습니다. 우선 설치를 합니다. 빠르게.
악성코드를 검출하려면 관련 DB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해야겠죠? '업데이트'를 터치하여 DB를 업데이트 해봅시다. 전 이미 최신 DB로 보호 중이었네요.
캡처를 따로 하진 않았는데 WiFi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업데이트'를 터치하면 3G, LTE 연결 하에서 DB 업데이트를 하겠냐고 물어봅니다. 요즘은 과한 요금이 청구되는 걸 미연에 방지해주려는지 어플들이 하나같이 3G/LTE 연결 중이라는 걸 알려주더군요. 만일 저와 같이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확인이 거추장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메뉴를 눌러 설정에 진입한 뒤에 '3G/LTE 업데이트 사용'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해두면 됩니다.
'검사하기'는 PC버전 백신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간편 검사 기능입니다. 검사하기 아이콘을 터치하면 이렇다할 설정없이 바로 검사가 진행됩니다. 검사 중 악성코드가 발견되는 경우 악성코드 발견 수에 그 숫자가 집계됩니다.
지금까지 알약 안드로이드 설치법과 악성코드 검출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 스마트폰에도 설치해서 악성코드를 잡아보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