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보안
- nba
- 베가아이언2
- 안드로이드
- kakao
- 인스타그램
- OTP
- 네이버
- 구글 나우
- 양반탈 이야기
- 카카오톡
- 안드로이드 어플
- 카카오택시
- 영화리뷰
- 농구
- 팬텍
- 크롬
- Windows
- 안드로이드 앱
- 카카오
- 다음카카오
- Linux
- 페이스북
- Google 피트니스
- 아이폰
- 안드로이드 어플 추천
- 구글
- It
- Google Now
- Today
- Total
아마추어 팀블로그
어제 다음 애드핏(AdFit) 가입 및 모바일 광고 적용 방법에 대해 다룬 글을 올린 바 있습니다.관련글: 다음 애드핏(AdFit) 광고를 티스토리 모바일 페이지에 삽입하는 방법 실제로 다음 애드핏(AdFit)을 본 블로그(아마추어 팀블로그)에 적용한 것은 15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심사 통과 문자와 메일은 16일 낮에 받았죠. 글을 쓸 거라고 캡쳐해놓고 깜빡해서 이제야 포스팅을 작성하네요. 건망증이란... 한창 일을 하고 있는데 아래와 같이 문자와 메일이 왔다고 스마트폰 알림이 뜨더군요. 확인해보니 심사에 통과했단 얘깁니다. 아무튼 심사에 무난히 통과하니 기분이 좋습니다. 앞으로 데이터를 좀 쌓은 다음에 애드센스(Adsense)와의 수익 비교 글을 작성할지도 모르겠네요. 물론 아직 다음 애드핏(AdFit..
Admin 페이지의 플러그인을 뒤적거리다보니 Daum Adfit (모바일용)이라는 메뉴가 있더군요. Ad***라는 이름에서 유추하건데 모바일용 광고가 아닐까 하고 클릭해보니 역시나입니다. 알고보니 다음카카오에서 제공하는 공고 중개 서비스더군요.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구글 애드센스가 많이들 달려있는데, 이러한 광고 중개 서비스의 한국형 서비스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모바일 버전의 광고만 제공하고 있어서 블로그에 달더라도 수익을 기대하긴 어렵습니다만 시험삼아 한 번 달아보았습니다. 우선 Daum AdFit 안내 사이트에 접속을 해봅시다. (링크) 다음 애드핏(AdFit)이 뭔지, 적립금은 어떻게 지급되는지, 광고 운영 방식은 어떻게 되는지 등 간단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그럼 AdFit 지금 ..
어떤 상황을 가정해보기로 하겠습니다. 집에 있는 PC 크롬에 유용한 사이트를 등록해 두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다가 그 사이트에 들어가고 싶어진 겁니다. 사이트 이름이나 주소는 기억도 안나고, 구글링을 어떻게 해서 그 사이트를 찾았는지도 가물가물합니다. 이런 경우엔 어떻게 해야할까요? 집에 돌아가야 할까요? 고작 북마크 하니 때문에? 이런 경우에 유용한 기능이 바로 크롬의 동기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해 모바일 스마트폰에서 PC 크롬의 북마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전 준비가 하나 필요한데, 바로 구글 로그인입니다. PC와 모바일 크롬 모두 같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동기화 대상 목록 중 동기화를 꼭 선택해 두어야하는 것이죠. 만일 이렇게 사전 준비를 해둔 상태라면 아래와 같..
요즘 카카오톡 PC버전 많이들 사용하고 계시죠? 카카오톡에서 주고 받은 사진들은 어떻게 받으시나요? 저는 보통 PC버전에서 대화창을 열어서 사진을 받아 보관하곤 하는데요, 그 방법을 공유합니다. 점점 블로그가 매뉴얼처럼 되어 가는 기분이네요. 우선 카카오톡 PC버전의 대화창을 엽니다. 우측 상단 더보기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사진 모양의 아이콘이 보이네요. 이를 클릭해줍니다. 글씨가 아니라 이게 처음엔 뭔가 싶었는데 알고보니 사진첩 기능이었습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사진 모아보기 창이 뜹니다. 여기서 내려받고자 하는 사진 우측 상단의 체크 박스를 클릭해서 아래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해주면 사진이 곧바로 저장이 됩니다. 내려받은 사진이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구요? 걱정하지 마세요. 사진 모아보기 창의 왼쪽 하단..
활동 중인 단체 홍보용으로 페이스북 페이지를 하나 개설했습니다. 지금까지 페이스북 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 입장이었다가 페이지 하나를 만드려고 하니, 막막하더군요. 새로 계정을 하나 만들어야 하나? 계정을 만드려고 보니 사용자 이름을 기입하라는데 지금은 대표성을 띈 페이지를 만들려는 건데 계정 이름에 내 이름을 적어도 되나? 페이지는 어떻게 만들지? 페이지를 만들면 운영자 정보가 노출될까? 등등 알고보니 페이지와 개인 프로필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더군요. 비상업용이고, 각 사용자를 대표하는 개인 프로필과는 달리, 페이지는 비즈니스나 브랜드, 그리고 지금 저의 경우에 해당하는 단체를 위한 대표성을 띕니다. 또한 계정당 개인 프로필은 한 개가 포함되는 것에 비해, 페이지는 한 계정에서 여러 개를 만들거나 관리..